Surprise Me!

[뉴있저] 러시아 제재 동참에서 고민했던 것들 / YTN

2022-03-04 0 Dailymotion

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속에 빚어진 이 파동을 기억하시죠? <br /> <br /> - 지디넷코리아 (2019년 5월 20일) <br /> - 파이낸셜뉴스 (2020년 8월 18일) <br /> <br />이때 미국이 사용한 무기 중 하나가 이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제3국에서 만든 제품이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·기술 등이 사용된 경우 미국 정부가 직접 수출 금지 조치 <br /> <br />이번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7개 품목, 50여 개 기술에 대한 러시아 수출입이 미국 상무부 통제를 받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… <br /> <br />* 미국, 지난달 24일 EU·영국·호주·일본·캐나다·뉴질랜드를 FDPR 통제조치 면제 국가로 지정 *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러시아 제재에 동참, 미국 상무부 거치지 않고 각국 자체 통제 <br /> <br />우리도 미국과 동맹국인데 러시아 제재 동참이 늦어지면서 면제 대상에서 빠진 겁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에 있는 우리 기업의 수출이나 그 공장에 재료가 공급되는 것도 미국 상무부 허가를 거쳐야 하는 거죠. <br /> <br />다행히 어제 미국과 합의가 됐다는 소식입니다. <br /> <br />* 한국, 미국 對러 수출 통제 면제 대상국 포함 * 미국, 수일 내 한국을 FDPR 면제 국가로 관보 게재 * 국제사회와 유사한 수준의 자체 수출 통제 조치 <br /> <br />미국 상무부에 일일이 허가를 구하는 것과 우리 정부가 통제를 해주는 건 불확실성이나 소요기간 등에서 차이가 크죠. <br /> <br />그런데 우리는 왜 늦어서 따로 면제 협상을 벌인 걸까? 고민이 길어진 배경을 보죠. <br /> <br />* 삼성전자·LG전자 - 러시아 세탁기·냉장고 등 주요 가전 분야 1위 * 삼성전자 -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 (30%) * 자동차 업계 - 러시아 수출 품목 중 25% 차지 <br /> <br />애플은 러시아에 공장이 없고, 볼보, 폭스바겐 자동차는 러시아 시장에서 별로 팔리지 않지만, 우리는 사정이 다릅니다. <br /> <br /> <br />"반도체, 통신기기 등 7개 통제 상품만이 아니라 대러 주력 상품 자동차·기계·플라스틱·전기제품 등 최종 소비재에도 FDPR 적용될 경우 대러 수출 급감" <br />- 대외경제정책연구원 (지난달 28일) <br /> <br />전쟁이 길어지고 제재가 계속 강해지고 품목이 넓혀지다 보면 수출이 타격을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관련 기업들에 정보나 금융 지원이 신속히 이뤄져야 합니다. <br /> <br />변상욱의 앵커 리포트였... (중략)<br /><br />YTN 변상욱 (byunsw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30420174167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